8월, 2021의 게시물 표시

[인천MRO, 규모의 경제 타이밍] 전문가 “코로나가 새 기회…경쟁력 확보 최우선 과제”

  국내 MRO산업 中·日 샌드위치 항공우주기술 선진국 대비 60% 운항정비 등 경쟁국들 이미선점 미확립 분야 기술력 원천 확보를 ▲이스라엘항공우주산업(IAI)가 2019년부터 개조∙생산해온 보잉 트리플세븐(777) 300ERSF 항공기 모습. /출처=인천국제공항공사 항공정비(MRO)는 항공기 정비(Maintenance), 수리(Repair), 분해·조립(Overhaul)을 비롯해 개조, 부품 조달 등에 이르기까지 항공기 안전 운항과 성능 향상에 관련된 모든 분야를 통칭하는 말이다. 크게 운항(line), 기체중정비, 엔진중정비, 부품중정비 4가지 분야로 나누는데, 지난 2019년 기준 국내 MRO 산업 종사자들은 6911명에 불과하다. 초기 투자비용이 큰 MRO 분야에 민간은 물론 공공 정책도 소극적이었던 까닭이다. 이전까지 정부는 군수 분야에 집중해 MRO 기반을 닦았고 민간에선 국내 산업이 작다는 이유 등으로 사업화를 시도하지 않았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은 자체 항공기에 한정해 MRO 기술력을 일부 확보했고 저가항공(LCC) 대부분은 해외정비에 의존 중이다. 코로나19 사태 확산으로 이같은 업계 분위기가 바뀌고 있다. 항공기 생산 구매를 줄이는 대신 점검·보수 또는 개조를 통해 기체 운용을 효율화하는 움직임이 활발해졌고, 아시아나와의 합병으로 대한항공은 MRO 사업화에 대한 고민도 시작했다. 여객 운송이 주춤하는 상황에서도 아시아태평양의 항공 수요는 계속해서 늘고 있는 만큼 이제는 인천MRO가 해외로까지 '규모의 경제'를 실현할 타이밍이란 분석도 나온다.   ▲중국과 일본 사이, 국내 MRO 산업의 현실 국내 항공사의 정비비용 해외 의존도는 지난 2009년 3960억원에서 2019년 1조2580억원 규모로 늘어났다. 비율로는 10년 전 50.9%에서 45.5%까지 줄었으나 여전히 막대한 비용이 MRO로 빠져나가고 있다. 문제는 국내 MRO 산업 기반이 부족하다는 점이다. 그나마 기술력을 확보한 대한항공은 엔진을 비롯해 기체중정비까지 모두

[인천 해외복합 MRO 산업으로 푼다] (중) 왜 IAI는 인천공항에 들어오나 인천일보특집

  아태 항공 수요 흡수, 접근성 좋은 인천 최적지 인천공항공사-IAI·STK 투자유치 합의각서 따라 2023년까지 시설건설…매년 B777-300ER 6대 생산 항공 물동량 세계 3위·지리적 이점 따라 입지 낙점 코로나19 감염병 바이러스 확산 속에서도 아시아태평양의 항공 산업은 성장세가 예상된다. 꾸준한 항공정비(MRO) 수요가 기대되는 가운데 항공여객서비스를 주력으로 삼아온 국내 대형 항공업계가 재편되며 MRO 산업에도 변화가 기대되는 상황이다. 동북아 허브공항이라는 좋은 입지가 있는 인천은 과연 MRO산업을 통해 '규모의 경제'를 실현할 수 있을까. 아직까지 한국은 일본·중국 사이의 경쟁력에서 헤매는 모양새다. ▲ 이스라엘항공우주산업(IAI)가 2019년부터 개조·생산해온 보잉 트리플세븐(777) 300ERSF 항공기 모습. /사진제공=인천국제공항공사 동북아시아 허브공항인 인천공항 입지를 활용하려는 해외 MRO기업들이 늘어나고 있다. 인천국제공항공사는 지난 5월 이스라엘항공우주산업(IAI), 샤프닉스케이(STK) 등과 인천공항 화물기 개조사업 투자유치 합의각서(MOA)를 체결했다. ▶관련기사: [인천MRO, 규모의 경제 타이밍] 전문가 “코로나가 새 기회…경쟁력 확보 최우선 과제” 협약상 공사는 오는 2023년까지 공항 MRO단지 내에 화물기 개조·생산시설 부지를 조성하고 대형 항공기 2대, 소형기 1대 등을 동시 수용하는 격납고 등을 건설하게 된다. 이후 IAI와 STK가 합작법인을 구성해 'B777-300ER 개조 화물기'를 만들어내는 구조다. 매년 6대씩 생산하는 것을 목표로 두고 있다. 여기서 B777은 1990년대 미국 항공기 제조업체 보잉에서 개발한 중대형 여객기 종류인데, 2세대인 300ER은 2003년 생산을 시작해 800대 넘게 팔린 대표 흥행 모델이다. IAI는 이를 화물 운반용 항공기로 개조한 '300ERSF' 기체를 전 세계에서 사실상 독점 판매 중이다. 그런데 글로벌 기업 IAI는 왜 인천

인천공항 MRO산업 ‘설레발’에 흔들리나

이미지
  아틀라스항공 특송화물기 정비 유치 관련 비밀준수 어긴 정황 드러나 美 나스닥 상장기업 공시 의무 위반 우려… 항공사 입장표명은 ‘아직’ 기자명  안재균 기자     입력 2021.08.25   지면  1면    댓글 0   바로가기   복사하기   본문 글씨 줄이기   본문 글씨 키우기 SNS 기사보내기 페이스북(으)로 기사보내기   트위터(으)로 기사보내기   카카오스토리(으)로 기사보내기   카카오톡(으)로 기사보내기   URL복사(으)로 기사보내기   이메일(으)로 기사보내기   다른 공유 찾기   기사스크랩하기 인천국제공항공사 청사 전경. /사진 = 인천국제공항공사 제공 인천공항 항공정비(MRO)단지 조성에 균열이 우려되고 있다. 인천공항공사와 국내 기업 ㈜샤프테크닉스K가 아틀라스항공(Atlas Air)과 체결한 특송화물기 정비 유치에 대한 비밀 준수 의무를 지키지 않으면서다. 미국 증권거래소인 나스닥(NASDAQ:National Association of Securities Dealers Automated Quotations)에 상장돼 있는 아틀라스가 이를 문제 삼을 경우 본계약 체결은 틀어질 수 있다. 24일 인천공항공사 등에 따르면 인천공항공사, ㈜샤프테크닉스K, 아틀라스항공이 미국 뉴욕 현지시간으로 지난달 12일 항공기 개조사업을 인천공항에 유치하는 투자유치 합의각서(MOA)를 체결했다. 2080년까지 50억 달러 이상 규모의 화물기 정비 물량을 인천공항에서 처리하겠다는 게 주요 골자다. 아틀라스항공이 싱가포르와 홍콩·타이완에 외주 줬던 아시아권 정비의 일부 물량이다. 이를 위해 아틀라스항공은 샤프테크닉스K와 합작법인을 만들기로 했다. 인천공항공사 등은 가계약 수준의 MOA를 체결하면서 향후 실시협약을 위한 본계약을 남겨 둔 상황이다. 문제는 합의사항에 대한 비밀 유지 규정이다. MOA 합의에 대해서는 제3자에게 유출하지 않도록 돼 있고, 3개 사가 동의하면 공개토록 했다. 하지만 인천상공회의소에서 아틀라스항공 유치 환영 성명 등을 내면서 비

정부, 인천공항에 해외 복합 항공정비(MRO) 업체 유치 등 지원키로

정부가 인천국제공항에 해외 복합 항공정비(MRO) 업체 유치 등을 집중 지원해주기로 하면서, 인천광역시(시장 박남춘)가 추진 중인 MRO산업을 비롯한 전반적인‘인천 항공산업*’에도 큰 탄력이 예상된다. * 항공정비산업, 도심항공교통산업, 드론산업   인천 항공산업이 활성화될 경우, 앞서 추진되고 있는 ‘인천 바이오 산업’과 함께 인천은 미래먹거리의 양 날개를 갖추게 된다. 인천지역의 새로운 경제성장과 청년 일자리 창출 동력이 마련되는 것이다.   16일 인천시에 따르면 정부는 지난 12일 열린 ‘제43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를 통해 인천을 복합항공정비사업 분야에 대해 육성・지원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 ‘항공정비산업 경쟁력 강화방안’ 4대 전략 13개 주요 정책을 발표했다. 구체적 회의 결과에 따르면 정부는 지역별로 분산, 추진되고 있는 MRO 클러스터 간 중복투자를 방지하기 위해 지역별 특화분야 육성 지원에 나설 예정이며, 인천공항은 해외 복합 MRO업체 유치 등을 추진하기로 했다.   앞서 인천시는 MRO산업의 활성화를 위해 해외기업 유치 등에 주력하고 있다. 민선7기 첫해인 2018년부터 이스라엘의 IAI사의 항공기 개조사업 유치를 추진했으며, 코로나19 대유행 상황 속에서도 이를 성공적으로 마무리 했다. 시는 또 미국 화물항공사의 중정비 아시아 허브, 대한항공의 통합 항공기 엔진 정비클러스터 유치 등을 추진 중에 있다.   인천을 글로벌 고부가가치 항공정비 중심으로 대전환시키는 사업구조 개편에 나선 것이다. 관련 사업들이 본격 시행되는 2025년에는 인천이 아시아 제1의 항공정비산업의 허브가 될 것으로 시는 기대하고 있다.   이와 관련, 인천시는 이번 정부 방침을 계기로 ‘인천 항공산업’을 집중 육성, ‘바이오 산업’과 함께 인천 경제를 선도할 핵심산업으로 만들겠다는 방침이다.   먼저 인천의 산업구조의 중심 뿌리산업인 제조업(자동차 중심)이 추진하고 있는 ‘기술 고도화와 사업 다각화’를 부가가치와 고용 창출효과가 높은 항공산업으로 지원할 예정이다

英 항공 부품기업 '메깃' 두고 美 기업간 인수 전쟁 불붙어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hm&sid1=104&oid=015&aid=0004591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