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MRO, 규모의 경제 타이밍] 전문가 “코로나가 새 기회…경쟁력 확보 최우선 과제”
국내 MRO산업 中·日 샌드위치 항공우주기술 선진국 대비 60% 운항정비 등 경쟁국들 이미선점 미확립 분야 기술력 원천 확보를 ▲이스라엘항공우주산업(IAI)가 2019년부터 개조∙생산해온 보잉 트리플세븐(777) 300ERSF 항공기 모습. /출처=인천국제공항공사 항공정비(MRO)는 항공기 정비(Maintenance), 수리(Repair), 분해·조립(Overhaul)을 비롯해 개조, 부품 조달 등에 이르기까지 항공기 안전 운항과 성능 향상에 관련된 모든 분야를 통칭하는 말이다. 크게 운항(line), 기체중정비, 엔진중정비, 부품중정비 4가지 분야로 나누는데, 지난 2019년 기준 국내 MRO 산업 종사자들은 6911명에 불과하다. 초기 투자비용이 큰 MRO 분야에 민간은 물론 공공 정책도 소극적이었던 까닭이다. 이전까지 정부는 군수 분야에 집중해 MRO 기반을 닦았고 민간에선 국내 산업이 작다는 이유 등으로 사업화를 시도하지 않았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은 자체 항공기에 한정해 MRO 기술력을 일부 확보했고 저가항공(LCC) 대부분은 해외정비에 의존 중이다. 코로나19 사태 확산으로 이같은 업계 분위기가 바뀌고 있다. 항공기 생산 구매를 줄이는 대신 점검·보수 또는 개조를 통해 기체 운용을 효율화하는 움직임이 활발해졌고, 아시아나와의 합병으로 대한항공은 MRO 사업화에 대한 고민도 시작했다. 여객 운송이 주춤하는 상황에서도 아시아태평양의 항공 수요는 계속해서 늘고 있는 만큼 이제는 인천MRO가 해외로까지 '규모의 경제'를 실현할 타이밍이란 분석도 나온다. ▲중국과 일본 사이, 국내 MRO 산업의 현실 국내 항공사의 정비비용 해외 의존도는 지난 2009년 3960억원에서 2019년 1조2580억원 규모로 늘어났다. 비율로는 10년 전 50.9%에서 45.5%까지 줄었으나 여전히 막대한 비용이 MRO로 빠져나가고 있다. 문제는 국내 MRO 산업 기반이 부족하다는 점이다. 그나마 기술력을 확보한 대한항공은 엔진을 비롯해 기체중정비까지 모두